개발(IT)/Python(파이썬)

Python(파이썬) 주피터(jupyter) 사용법

isony 2024. 10. 5. 00:01
반응형

Python(파이썬) 주피터(jupyter) 사용법

1)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 기능 둘러보기

2)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 단축키

3)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에서 운영체체 명령실행

 

1.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 기능 둘러보기

01) 노트북 이름(파일이름)

- 노트북을 새로 생성하면 'Untitled' 혹은 'Untitled숫자'로 저장됩니다.

- 마우스로 클릭하면 팝업시 아래와 같이 나타나는데, 변경할 노트북 이름을 입력하고 'Rename' 버튼을 클릭합니다.

 

02) 메뉴 바

- File(파일) : 새 노트북 만들기, 복사하기등 파일 관련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Edit(편집) : 셀(Cell) 자르기, 복사하기, 붙여넣기, 삭제하기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View(보기) : 헤더, 툴바, 줄번호 보이기/숨기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Run(실행) : 현재 셀(Cell) 유형이 코드이면 코드를 실행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Kernel(커널) : 커널 정지, 재시작, 재시작후 전체 재실행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Settings(셋팅) : 환경설정, 테마, 언어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- Help(도움말) : 단축키 확인하기, 단축키 설정하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.

 

03) 툴 바

01 - 저장(Save and create checkpoint) : 노트북을 저장

02 - 셀 추가(Insert cell below) : 현재 셀의 아래에 새로운 셀을 추가

03 - 셀 삭제(Cut this cells) : 선택한 셀을 삭제

04 - 셀 복사(Copy this cells) : 선택한 셀을 복사

05 - 셀 붙이기(Paste this cell from the clipborad) : 복사한 셀을 아래에 붙여넣기

06 - 실행(Run this cell and advance) : 셀 유형 코드이면 코드를 실행하고, 마크다운이면 마크다운 형식으로 작성된 문서의 결과 출력

07 - 커널 정지(Interrupt the kernel) : 셀에서 실행하고 있는 코드를 정지, 반복문등에서 실행을 멈출때 사용

08 - 커널 재시작(Restart the kernel) : 커널을 다시 시작

09 - 커널 재시작 후 전체 재실행(Restart the kernel and run all cells) : 커널을 다시 시작해 전체 노트북을 다시 시작

10 - 셀 유형 선택(Select the cell type) : 셀 유형을 선택 (Code / Markdown / Raw)

     Code(코드) : 코드를 작성

     Markdown(마크다운) : 마크다운 형식의 문서를 작성

     Raw(로우) : Raw 형식의 문서를 작성

 

04) 셀

- 코드와 문서를 작성하는 공간, python 명령을 입력

 

2.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 단축키

- Shift + Enter : 현재 셀을 수행하고, 아래셀을 선택, 아래셀이 없으면 새로운 셀을 추가

- Alt + Enter : 현재 셀을 수행하고 아래에 새로운 셀을 추가

- Ctrl + Enter : 현재 셀을 수행, 아래 셀 추가나 선택 없음

- Ctrl + S : 노트북 저장

- Enter :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

- Esc : 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전환

- M : 명령모드에서 셀 유형을 마크다운으로 전환

- Y : 명령 모드에서 셀 유형을 코드로 전환

- L : 명령 모드에서 줄 번호 보이기 / 숨기기

- Ctrl + / : 셀(입력모드) 편집 영역에서 선택된 코드를 주석으로 처리 / 해제

- 상/하 방향키 : 명령 모드에서 셀 간의 상/하 이동

 

 

3. 주피터 노트북(jupyter notebook)에서 운영체체 명령실행

- 운영체제 명령어(command) 앞에 느낌표(!)를 붙여 운영체체에 명령을 실행

- 윈도우 명령프롬프트(cmd)에서 사용하는 윈도운 명령어 충 디렉터리(폴더)와 파일 관련 명령어

- 윈도우 명령어 : cd, dir, tree, type, mkdir, rmdir, echo 등을 사용 할 수 있다.

- 파일 쓰기 : %%writefile 명령어

  형식)  %%writefile  [-a]  파일명.py

- 파일 일기 : %load 명령어

  형식)  %load  파일명.py

- 파이썬 코드 실행 : %run 명령어

  형식)  %run  파일명.py

 

 

 

 

반응형